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열대야·호우·대설·한파 기준 한 번에 끝내기

by 덩글덩글 2025. 8. 17.

밤새 에어컨을 껐다 켰다 해도 잠들기 힘든 계절, 다시 열대야가 시작됐습니다. 여름엔 호우 특보, 겨울엔 대설·한파 특보까지 쏟아지는데요. 용어가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국내(기상청) 공식 기준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 숫자만 외우기보다 “왜 이런 기준이냐”와 “생활 대응 포인트”까지 함께 보세요.

열대야

1) 열대야의 기준(정의)

열대야는 밤 최저기온이 25 °C 이상인 날을 말합니다. 기상청은 밤 시간대를 당일 18:01~익일 09:00로 구분해 이 구간에서 최저기온이 25 °C를 넘으면 열대야로 집계합니다. 즉, ‘한밤중에 잠설칠 만큼 더웠다’는 것을 수치로 표현한 지표이지, 경보·주의보 같은 특보 체계는 아닙니다.

 

생활 포인트

  • 밤 최저가 25 °C 근처라면, 실내 습도 60%를 맞추면 체감온도가 내려가 수면 질이 좋아집니다.
  • 창문 틈새, 암막커튼, 늦은 저녁 샤워(미온수)가 체감 개선에 도움.

2) 폭염 특보(참고) — ‘기온’이 아니라 체감온도

폭염특보는 ① 폭염주의보: 일 최고 체감온도 33 °C 이상 2일 이상, ② 폭염경보: 일 최고 체감온도 35 °C 이상 2일 이상이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그래서 습도가 높으면 기온이 33 °C 미만이어도 특보가 나올 수 있고, 반대로 건조하면 33 °C를 넘어도 특보가 없을 수 있습니다.

 

생활 포인트

  • ‘체감’이 기준이므로 그늘+바람(공조·선풍) 조합이 중요합니다.
  • 약한 열질환도 두통·어지럼·메스꺼움 같은 신호가 먼저 오니, 즉시 냉음료·그늘·휴식을 취하세요.

3) 호우 특보 — ‘짧고 세게’ vs ‘오래 많이’

  • 호우주의보3시간 60 mm 이상 또는 12시간 110 mm 이상 예상
  • 호우경보3시간 90 mm 이상 또는 12시간 180 mm 이상 예상

짧은 시간(3시간) 폭우와 장시간(12시간) 누적 상황을 각각 판단합니다. 특보는 기본적으로 예상 기준이며 실황에 따라 강화·해제됩니다.

  • 대응ㅣ하천 산책로·반지하·지하차도 진입 금지, 차량은 고지대로 임시 대피, 모래주머니·역지변(물막이판) 준비.

4) 대설 특보(일상 표현 ‘폭설’)

  • 대설주의보24시간 적설 5 cm 이상 예상
  • 대설경보24시간 적설 20 cm 이상 예상 (산지 30 cm)

눈은 강설량보다 쌓이는 높이(적설)가 위험도를 좌우합니다. 노면 결빙·가로수·지붕 적설 하중에 유의하세요.

  • 대응ㅣ차량 속도 절반 이하, 처마 아래 주차 금지, 염화칼슘·삽·모래 3종 세트로 출입구 우선 제설.

5) 한파 특보 — ‘절대온도’와 ‘급강하’ 두 트리거

발효 기간은 10~다음 해 4월. 아래 중 하나만 충족해도 발효됩니다.

한파주의보

  • 아침 최저 전일 대비 −10 ℃ 이상 하강 & 3 ℃ 이하 & 평년보다 3 ℃ 낮음
  • 아침 최저 −12 ℃ 이하 2일 이상 예상
  • 급격한 저온으로 중대한 피해 우려

한파경보

  • 아침 최저 전일 대비 −15 ℃ 이상 하강 & 3 ℃ 이하 & 평년보다 3 ℃ 낮음
  • 아침 최저 −15 ℃ 이하 2일 이상 예상
  • 광범위 중대한 피해 우려
  • 대응ㅣ노약자 외출 자제, 실내 18~20 ℃ 유지, 배관·계량기 단열, 취침 전 미세 유량(‘똑똑’)으로 동파 예방.

6) 빠른 해석 팁 3가지

  • 특보=예상 기준이 많습니다. 예보 업데이트에 따라 강화·해제가 빈번합니다.
  • 열대야는 특보 아님—여름 더위를 설명하는 지표. 폭염특보와 구분하세요.
  • 폭염은 체감—습도가 높으면 위험이 커집니다. 같은 기온이라도 대책 강도를 조절하세요.

7) 기준 요약 표

구분 주의보 경보 비고
호우 3시간 60 mm 또는 12시간 110 mm 이상 예상 3시간 90 mm 또는 12시간 180 mm 이상 예상 짧은 시간 vs 장시간 누적을 분리 판단
대설 (폭설) 24시간 적설 5 cm 이상 예상 24시간 적설 20 cm 이상 예상 (산지 30 cm) ‘적설(쌓임)’ 기준
한파 전일 대비 −10 ℃↓ & 3 ℃ 이하 & 평년−3 ℃ 또는 −12 ℃ 2일+ 전일 대비 −15 ℃↓ & 3 ℃ 이하 & 평년−3 ℃ 또는 −15 ℃ 2일+ 발효 기간 10~다음 해 4월
폭염 (참고) 일 최고 체감 33 ℃ 이상 2일+ 일 최고 체감 35 ℃ 이상 2일+ 최고기온이 아닌 체감온도 기준
열대야 (정의) 밤 최저 25 ℃ 이상 18:01~익일 09:00 구간 최저기온. 특보 아님

8) 마무리 & 체크리스트

  • 앱 알림으로 특보·예보 수신 설정
  • 호우 시 지하·하천 진입 금지, 차량 고지대 이동
  • 대설 시 출입구 우선 제설, 처마·가로수 주차 금지
  • 한파 시 배관 단열과 취약계층 안부 확인
  • 열대야 시 취침 전 제습·차음으로 수면 환경 개선

※ 수치는 기상청 운영 기준을 정리한 것으로, 지역·지형·실황에 따라 운영 세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